2000년대 중반부터 한국 정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하위 수준인 한국의 출산율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BMC 공중 보건(BMC Public Health) 연구는 한국의 출산율 변화와 출산 장려 정책 간의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BMC 공중 보건 연구 2014년부터 2018년까지 250개 지자체의 출산율 데이터와 지자체 저출산 대책 사례집을 활용했습니다. 종속변수는 출산율이고 독립변수는 출산장려정책입니다. 기술통계 및 잠재성장 모델링은 SPSS 25.0과 M-plus 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했습니다. 본 연구의 최종 모형으로는 무조건 이차 모형이 선택되었습니다. 2000년대 이후 출산율 감소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일부에서는 향후 20년 이..